[경기경제신문] 정부가 지난 15일 710만㎡(215만 평) 300조 원 규모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용인시 남사읍을 후보지로 발표한 것과 관련해 이상일 용인시장은 사전에 이를 미리 알고있었다는 의혹이 대두되고 있다.

앞서 이 시장은 지난 대선선거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친분이 있다며 자신의 SNS에 윤 대통령과 같이 찍은 사진을 과시하기도 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당시 당선인 신분으로 용인 중앙시장을 방문해 이상일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이 시장은 지난 1월 민선 8기 역점 사업 추진을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때 신성장전략국을 설치하고 반도체 1과,2과를 만들었다.
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신성장전략국'설치를 민선 8기 역점 사업의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당시 용인시의회에서는 반도체 관련해 2개부서가 필요하냐는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이상일 용인시장은 반도체 1과,2과를 밀어부쳤다.
여기서 이 시장이 정부의 계획을 미리 알고 준비를 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시장은 어떻게 정부의 계획을 발표전에 알고 준비를 했을까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15일 한 중앙경제지 보도에 따르면 "300조가 용인에 온다는 정확한 사실을 알고있는 사람은 경기도에서 오직 이상일 시장과 직원 1명 등 딱 2명뿐이었다. 그들은 극비리에 준비 해왔다. 삼성전자 본사 내부에서도 삼성전자 사장과 반도체 부문 임원 몇명만 극비리에 알고 진행된 사업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또한 해당 언론은 "김동연 경기지사보다 몇수 위인 이상일 용인시장의 추진력·정보력 비교가 도마위에 올랐다. 이상일 시장의 치밀한 두뇌도 한 몫을 했다. 똑똑하고 유연한 시정과 추진력·정보력은 행정의 성공여부를 가른다."고 한껏 치켜세웠다.
이 시장은 세계최대 반도체 클로스터 계획 성사를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한다. 또 취재에 빅 뉴스가 터질지 모른다고 답했다고 한다. 여기에 이 시장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함구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결국엔 윤석열 정부의 성공이 아닌 자신의 치적 쌓기를 위한 대외비 유출로 발목을 잡는 모양세라는 지적이다.
이 시장이 정부의 발표를 미리 알고 있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이 시장은 분명 대외비였을 발표 내용을 어떻게 알고 있었을까? 정부는 이 시장과 함께 계획을 세운 것일까?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이상일 시장은 공보관을 통해 "대꾸할 가치가 없다"며 "기사 내용이 다르면 법적조치하겠다"고 입장을 전달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