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 아이디어도 OK, 정책으로 채택되면 소정의 인센티브 지급“ [경기경제신문]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예비후보가 ‘소위’ 진보 교육감 13년(2009년 김상곤 전 교육감~2022년 이재정 현 교육감)의 고질(痼疾) 중 하나로 ‘불통’을 지적하며 ‘정책구매제도’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경기도교육감 선거 출사표를 밝힌 뒤 임 예비후보가 경기도 내 곳곳을 찾아 학부모들의 작은 소리를 경청하는 ‘리스닝 투어(Listening Tour)’를 펼치는 것도 정책구매제도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 정책구매제도란 누구나 교육 관련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으며, 전문가 등의 심의를 거쳐 교육정책으로 채택될 경우 경기도교육청이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정책구매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교육의 질과 서비스는 높이는 한편 교육 분야 R&D(연구·개발) 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관 소통을 통한 교육정책 개발·반영이라는 점에서 ‘소위’ 진보 교육감들의 ‘불통’과는 대비될 걸로 임 예비후보 측은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22일 이재정 현 경기도교육감이 6·1 지방선거 불출마를 선언했을 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경기경제신문] 경기도, 서울, 인천 중도 보수를 표방하는 교육감 후보들이 연대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예비후보, 조전혁 서울시교육감 예비후보, 최계운 인천시교육감 예비후보 등 3명은 11일 오후 임 예비후보 선거사무소에서 수도권 중도보수 교육감 단일화 대표 후보 연대를 출범했다. 수도권 중도보수 교육감 단일화 대표 후보 연대의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맡았다. 보수 교육감 후보들은 "지금까지의 교육감 선거는 전교조 주도의 선거였다"며 "이를 타파하기 위해 중도보수 후보들이 연대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도교육감 선거에서 압승하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며 "지금의 교육이 이렇게 엉망이 된 것은 진보 좌파 세력 때문"이라며 "학교를 자신들의 이념의 실험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번 선거에서 반듯이 승리해 국민들이 원하는 교육을 펼치겠다"고 피력했다. 연대의 대표를 맡은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후보는 "반듯이 새로운 교육으로 바꿔야 한다"며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후보와 연대를 통해 함께 뜻을 모아 대한민국의 교육을 바로잡겠다"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