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 경기상상캠퍼스는 10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문화예술 복합문화공간 경기상상캠퍼스 내 풍성한 전시가 진행된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14일 개막한 경기 디자인 전시 《우리가 만드는 》(10.14~11.19, 디자인1978)를 시작으로, 사진전 《우리, 빛나는 가치》(11.1~11.30, 공간1986), 경기상상캠퍼스 교육결과공유전시 《우리 모두 다같이 손뼉을》(11.4~11.18, 교육1964) 등 각양각색의 전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해당 전시들은 사전예약 없이 운영 시간 내 방문하여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 도내 디자인 상품을 한눈에, 경기 디자인 전시 《우리가 만드는 》 디자인1978 개관 3주년을 맞이하여 마련된 2023 경기 디자인 전시 《우리가 만드는 》는 디자인1978에서 진행됐던 '경기 로컬 굿즈 개발 '청년마을상점''(이하 '청년마을상점') 사업의 결과물을 담았다. '청년마을상점'은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문화원연합회의 협력사업으로, 경기도형 굿즈 콘텐츠를 개발하며 청년 마을디자이너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두 기관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디자인 굿즈를 개발하는 것을 시작으로 도내 청년 디자이너들
[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오는 11월 3일부터 4일까지 양일간 하반기 기획전 연계 교육프로그램 ‘더하고, 꾸미고, 누리고, 즐기다!’를 선보일 예정이다. 본 행사는 지난 10월 24일에 개최된 장신구 기획전 《조선비쥬얼》 연계 교육으로 조선시대 남자 장신구에 대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본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조선시대 남자들의 격식에 맞는 옷 매무새를 비롯하여 쓰개류 및 주머니 장식 등 유물을 통해 우리 조상들이 생각한 미의식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남자 장신구를 ‘격식에 대한 꾸밈’과 동시에 실용성까지 겸비한 ‘실용에 대한 꾸밈’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 3종으로 자체 마련했다. 첫 번째 ‘겨울용 한복 배자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으로 조선시대 남자들이 겨울을 나는 중요한 소품 중 하나로 몸의 보온을 위해 만들어진 배자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옷 소매가 없고 앞 중심에 여며 입는 형태를 배자, 괘자, 괘배라고 했으며 배자는 포나 저고리에 덧입는 조끼를 말한다. 전시장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이직(1677~1746)의 묘에서 출토된 누빔 배자에 기반한 현대식 배자 만들기를 통해 옆트임을 비롯해
[경기경제신문]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가 11일 광주시 청석공원에서 하남부터 이천을 잇는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식을 연다. 앞서 도는 2013년부터 조선시대 실학자 신경준 선생이 집필한 도로고(道路考)의 육대로(六大路)를 토대로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을 조성 추진, 지난해 10월 모두 복원한 바 있다. 도는 경기옛길이 도민의 여가 활동처로 관심을 받음에 따라 경기옛길 육대로와 별도로 역사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도보길을 추가하기로 했다. 올해 2월부터 추진돼 이번에 개통하는 봉화길은 조선시대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 구획하고 있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한 10대로 중 봉화로(奉化路)를 기반으로 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거쳐 조성했다. 당시 봉화로(奉化路)는 조선시대에 수도인 한양에서 광주, 이천, 충주를 지나 태백산 사고(太白山史庫)가 있던 경상도 봉화 지방을 연결하며,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옮겨지던 길이다. 노선이 거의 직선에 가깝고 기복이 적고 장애물이 없어 ‘소의 이동’이 보장되는 우로(牛路)로 활용되기도 했다. 도
[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과 용인문화재단은 10월 30일 오전 경기상상캠퍼스 청년1981에서 용인뮤지엄마일(가칭) 문화지구 지정 공동 추진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신갈오거리 도시재생 사업지와 G-뮤지엄파크를 중심으로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구갈동, 상갈동, 보라동 일대를 경기도 내 새로운 ‘문화지구’ 지정을 위하여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용인에 소재하고 있지만 경기문화재단에서 관리·운영하고 있는 백남준아트센터, 경기도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약속하여 더욱 의미가 깊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기문화재단과 용인문화재단은 경기도 두 번째 문화지구 지정을 위한 양 기관 실무자 간의 워크숍을 시작으로 조례 검토, 문화지구 축제, 거리 디지털 박물관 사업 등을 공동 추진하여 경기도 거점 문화도시 사업 추진을 위해 상호협력을 해 나갈 예정이다. 용인문화재단 김혁수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경기문화재단과 함께 문화지구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확산시킬 수 있길 기대한다.”며 “용인의 다채로운 문화자원이 연결되고 박물관과 어우러져 시민 누구나 문화지구 내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경험과 창작
[경기경제신문]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가 11일 광주시 청석공원에서 하남부터 이천을 잇는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 봉화길’ 개통식을 연다. 앞서 도는 2013년부터 조선시대 실학자 신경준 선생이 집필한 도로고(道路考)의 육대로(六大路)를 토대로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을 조성 추진, 지난해 10월 모두 복원한 바 있다. 도는 경기옛길이 도민의 여가 활동처로 관심을 받음에 따라 경기옛길 육대로와 별도로 역사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도보 길을 추가하기로 했다. 올해 2월부터 추진돼 이번에 개통하는 봉화길은 조선시대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 구획하고 있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한 10대로 중 봉화로(奉化路)를 기반으로 역사적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거쳐 조성했다. 당시 봉화로(奉化路)는 조선시대에 수도인 한양에서 광주, 이천, 충주를 지나 태백산 사고(太白山史庫)가 있던 경상도 봉화 지방을 연결하며,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옮겨지던 길이다. 노선이 거의 직선에 가깝고 기복이 적고 장애물이 없어 ‘소의 이동’이 보장되는 우로(牛路)로 활용되기도 했다.
[경기경제신문] 경기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옛길센터는 ‘2023 옛길따라 만나는 문화체험’ 행사를 오는 11월 4일부터 25일까지 경기옛길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경기옛길 6대로와 새롭게 개통되는 봉화길에서 모두 10회차가 진행되며 힐링과 학습, 반려동물, 소풍 등의 다양한 주제로 펼쳐진다. 또 목걸이 및 키링 만들기, 문화재 탐방, SNS 미션 등 주제에 맞는 체험활동과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특히 11월 17일부터 진행되는 4회차의 프로그램은 새롭게 개통하는 봉화길에서 진행될 예정으로 새로운 코스와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옛길센터 관계자는 “이번 경기옛길 체험 행사를 통해 도민들께서 경기옛길의 역사문화를 향유하고 되새기는 기회가 되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체험 행사 참가신청은 경기옛길 누리집 또는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에서 가능하며 매 회차마다 100명 내외 인원을 모집하여 진행된다. 경기옛길은 2022년 총 550km에 이르는 6대로를 완성하고 길에 담긴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11월 11일에는 추가 조성 중인 봉화길의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과 국제푸른방패(위원장 피터 스톤)는 10월 24일 오전 11시(현지시각) 영국 뉴캐슬(Newcastle)에서 전쟁과 같은 재난시 세계유산의 공동 보호 및 경기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공동학술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경기도가 문화재청, 강원도와 함께 추진 중에 있는 “한반도 비무장지대 세계유산 등재기반구축 사업”과 관련하여 분쟁지역에서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세계 최고의 권위와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국제푸른방패와 공동의 학술연구 및 실천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추진됐다. 경기문화재단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70년간 민간인 출입이 금지된 경기도 DMZ 내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를 위하여 실질적 협력을 기대함과 동시에 국제적 협력을 통한 분쟁지역에서의 많은 경험을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제푸른방패(BSI, Blue Shield International)는 1996년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국제기록관리협의회(ICA), 국제도서관연맹(IFLA) 등 4개의 주요 문화유산 조직에 의해 창설됐으며, 1954년 헤이그 협약 정신을 바탕으로 파란색 방
[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이 문화누리카드 이용자를 위한 찾아가는 문화서비스 '누구나 누리는 문화놀이터, 누리터'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누리터'는 이동이 용이한 트럭을 활용하여 문화누리카드 가맹점이 부족한 지역이나, 가맹점 방문에 어려움을 겪는 이용자가 있는 곳으로 직접 찾아가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3월부터 10월까지 27개 지역, 61곳을 방문하여 약 4천여 명의 이용자들에게 문화상품 장터를 중심으로 문화예술 체험과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특히 7월부터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이하 LH)와 업무협약을 맺고 경기북부지역 임대주택 입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문화서비스를 추진했다. 파주, 의정부, 동두천에 이어 지난 10월 24일, 가평군에 위치한 LH 가평읍내2단지아파트에서 공연과 체험, 장터가 함께 어우러진 '누리터'를 개최하여 200여 명의 입주민들이 문화누리의 장을 즐겼다. 경기문화재단 문화나눔센터 관계자는 “'누리터'의 기존의 찾아가는 문화서비스와 가장 큰 차이점은 트럭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있는 곳이면 경기 지역 어디든 방문할 수 있다는 점이다.”라며, “앞으로도 경기도 문화누리카드 이
[경기경제신문]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은 경기지역 시각예술작가 발굴과 미술품 유통 활성화를 위한 ‘2023년 경기 미술품 활성화 사업(아트경기)’의 일환으로, ‘아트경기 팝업갤러리’를 개최한다. 매년 독창적인 기획으로 선보이는 미술품 전시·판매 사업인 팝업갤러리는 올해 10월 21일부터 3주간 서울 금호알베르에서, 10월 27일부터 3일간 파주 갤러리지지향에서 진행된다. 네오헤리티지 2023 《제우스와 박수무당》은 협력사업자 팀서화(대표 도연희, 김성우)의 기획으로 서울시 금호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금호 알베르에서 선보인다. 예측 불가능의 영역으로 접어든 과학기술 발전과 이로써 인류가 당면한 존재론적 질문을 제시하여 인간을 닮은 혹은 이를 뛰어넘는 존재를 끊임없이 창조하려는 우리의 본성을 은유하는 전시다. 2023 아트경기 작가 11인을 포함 총 20인의 작가가 참여해 회화, 설치, 미디어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AI가 촉발한 인간 본성에 대해 “우리는 왜 신을 창조하려 하는가?”라는 질문을 표현한다. 전시는 1, 2부로 나뉘어 진행되며, 10월 31일 작품 상당수가 교체되어 11월 11일까지 새로운 2부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파주
[경기경제신문]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 경기상상캠퍼스는 상상실험실(경기상상캠퍼스 생생1990 별관)에서 ‘환경을 생각한 수공예의 가치’를 주제로 하는 3개의 환경·공예 특강 교육 프로그램 'It多(잇다)'를 11월 1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환경과 공예를 융합한 신개념 환경예술을 기반으로 기획된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농생대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조성된 경기상상캠퍼스 내에 위치한 공예 특화 메이커 스페이스 ‘상상실험실’에서 진행된다. 이번 특강은 도자공예와 라탄공예를 결합한 ‘감성 화병 만들기’, 목공예와 패브릭공예를 결합한 ‘젓가락 롤링케이스 만들기’, 유리공예와 테라리움 공예 분야를 결합한 ‘와인병 테라리움 만들기’ 총 3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번 특강은 경기상상캠퍼스의 문화예술 창업창직 입주단체 ‘그루버’(바람을 엮다, ㈜재재, 한국원예교육협동조합)와 함께 협업하여 양질의 공예 교육을 경기도민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환경을 생각한 수공예의 가치’라는 특강 주제에 따라 각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주변에서 버려지는 소재나 제품을 업사이클링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