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신문] 고양시는 코로나19에 25명이 확진판정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645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646번 확진자는 고양시 645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647번 확진자와 648번 확진자는 한 가족으로 서초구 확진자의 접촉자다. 649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도 조사 중이다. 650번부터 652번 확진자 3명은 고양시 631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53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도 조사 중이다. 654번 확진자와 655번 확진자는 가족으로 홍대새교회 교인과 접촉했다. 656번 확진자는 은평구 확진자와 접촉했고 657번, 658번, 659번 확진자 3명은 고양시 649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60번 확진자는 고양시 643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61번 확진자는 고양시 642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662번 확진자와 663번 확진자는 가족으로 662번 확진자가 서초구 431번 확진자와 접촉했다. 664번 확진자는 서초구 434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65번 확진자는 고양시 640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666번 확진자와 667번과 668번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다. 669번 확진자는 고양시 581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고양시보건소는 확진자들에 대해
[경기경제신문] 평택시가 27일 코로나19 157번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157번 확진자의 감염원은 조사 중이며 26일 검사 및 확진판정을 받고 격리병상으로 이송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확진자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며 추가로 확인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시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신속하게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기경제신문] 수원시가 연말을 맞아 12월 한 달 동안 부당요금 징수, 호객행위 등 택시 불법 영업행위 단속에 나선다. 수원시는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수원시지부, 수원시 개인택시조합과 함께 택시 불법행위 민원이 자주 발생하는 나혜석거리, 수원역, 삼성전자 앞, 영통역 주변, 매탄 중심상가 등 5개소를 중심으로 오후 11시부터 이튿날 오전 2시까지 집중적으로 단속한다. 주요 단속 사항은 부당요금 징수, 사업구역 외 영업행위, 승차 거부, 합승행위, 카드결제 거부·영수증 미발행, 장기정차 등이다. 불법 행위가 적발되면 과태료 부과 등 강력한 행정처분을 하고 해당 운수업체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통법규·친절 교육을 할 예정이다. 수원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택시 불법행위가 증가하는 연말에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교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철저히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10월까지 수원시에 접수된 택시 관련 행정처분은 854건이다. ‘부당요금’이 190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업구역 위반’ 186건, ‘승차 거부’ 94건, ‘도중하차’ 51건 등이 있었다.
[경기경제신문] 최종환 파주시장은 코로나19 대응을 진두지휘하느라 민방위복을 벗을 날이 없다. 파주시는 ‘중앙 정부보다 한 단계 더 강화된 대응’을 원칙으로 파주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한 1월 28일 첫날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보고회를 여는 등 코로나19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시는 코로나19 300일간의 대응 과정을 담은 중간보고회를 11월 25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올 1월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뒤 파주시의 상황별 대응 과정을 ‘코로나19, 300일간의 기록’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한눈에 보는 코로나19 타임라인 타임라인 세부일지, 파주시 주요 대응 코로나19 ‘방역용품 관리 체계’ 개선방안 코로나19 대응 예산 코로나19 대응 대시민 홍보 현장의 생생한 방역활동을 엮은 사진 등을 이 자리에서 공유했다. 또 ‘마스크 대란’ 발생 후 파주시-농협 협업으로 전국 최초 ‘마스크 특별판매’ 실시, 코로나19 확산 관련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지역경제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소득·재산에 상관없이 모든 시민에게 총 3회에 걸쳐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스타벅스 야당역 발 집단감염 사태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최초 ‘파주시 휴게음
[경기경제신문] 평택시가 26일 코로나19 미군 346~347번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미군 관련 확진자는 입국 후 자가격리 중 검사 및 확진판정을 받고 기지 내 격리치료 중이다. 시 관계자는 “확진자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며 추가로 확인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시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신속하게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기경제신문] 고양시는 25일 오후 코로나19에 7명이 더 확진 판정받았다고 밝혔다. 621번 확진자는 고양시 589번, 595번 확진자들의 접촉자다. 622번 확진자는 의정부시 확진자의 접촉자다. 623번 확진자는 은평구 확진자의 접촉자다. 624번 확진자는 고양시 545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25번 확진자는 파주시 164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626번 확진자는 구리시 101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627번 확진자는 파주시 163번 확진자의 접촉자다. 고양시보건소는 확진자들에 대해 격리병상 배정을 요청하고 경기도역학조사관의 심층역학조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25일 기준 고양시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받은 감염자는 총 627명이고 고양시민 확진자는 총 599명이다.
[경기경제신문] 성남시는 본청사를 25일 오후 2시부터 임시 폐쇄조치한다고 밝혔다. 시는 25일 본청사 7층 근무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즉시 청사를 폐쇄하고 방역소독을 시행할 예정이다. 필수인원을 제외한 모든 본청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즉시 귀가 조치시켰고 확진자 동선 등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접촉자 분류 및 추가 검사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는 본청 근무자의 확진판정에 따라 같은 층에 근무한 접촉자 등 총 150여명 검사를 실시하고 지난 19일 확진자와 같은 회의에 참석했던 은수미 성남시장도 25일 오후 검사를 받는다. 결과는 내일 오전에나 나올 예정이다. 검사 결과에 따라 폐쇄 연장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는 청사 폐쇄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 직원이 사무실 전화를 휴대폰으로 착신 전환해 민원에 대응할 방침이다.
[경기경제신문] 고양시는 지난 24일 저녁 8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받고 25일 5명이 확진됐다고 25일 밝혔다. 608번 확진자는 지난 14일 입국해 자가격리 중인 해외입국자다. 609번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다. 610번, 611번, 612번 확진자들은 고양시 602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13번 확진자는 고양시 600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14번 확진자는 고양시 606번 확진자의 가족이다. 615번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다. 이들은 지난 24일 저녁 코로나19 양성판정을 받았다. 616번부터 620번 확진자 5명은 한 가족으로 감염경로를 파악 중이다. 이들은 25일 확진판정 받았다. 고양시보건소는 확진자들에 대해 격리병상 배정을 요청하고 경기도역학조사관의 심층역학조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25일 기준 고양시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받은 감염자는 총 620명이고 고양시민 확진자는 총 593명이다.
[경기경제신문] 수원시가 개정된 도로교통법 시행에 따른 개인형 이동 수단 규제 완화에 대비해 오는 12월 31일까지 전동 킥보드 등을 집중적으로 단속한다. 현재 전동 킥보드는 운전면허를 취득한 성인이나 2종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를 취득한 만 16세 이상이 이용할 수 있지만, 12월 10일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되면 만 13세 이상 이용자도 운전면허 없이 전동 킥보드를 탈 수 있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수원시 공무원으로 구성된 점검반이 지하철 역 입구나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옆 등에 방치된 전동 킥보드에 이동조치를 권고하는 안내문을 부착한다. 개인형 이동 수단 안전 수칙 홍보물을 제작해 시민들에게 배포하고 관내 공유 전동 킥보드 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보행자 안전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시민들이 대중교통 이용을 꺼리면서 개인형 이동 수단이 주목받고 있다”며 “전동 킥보드 규제 완화로 증가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해 수원 중·서·남부경찰서와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경제신문] 유효기간이 한참 지난 의약품을 취급하거나 전문의약품을 처방전 없이 판매하고 제조·품질관리 기준 인증이 없는 한약재를 판매한 업체들이 경기도 수사에 적발됐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약사법에 의해 등록된 약국, 한약국, 한약방, 동물용의약품 도매상 360곳에 대해 불법 의약품 판매·관리에 대한 수사를 벌인 결과 총 58곳에서 위법행위 59건을 적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위반 내용은 유효기간 경과 의약품 판매 34건, 처방전이 있어야만 판매가 가능한 전문의약품 판매 13건, 비규격품 한약재 판매 6건, 의약분업 예외지역 표시·광고 2건, 조제기록부 미작성 2건, 무허가 도매상 영업 1건,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의약품 조제행위 1건이다. 주요 사례를 보면 화성시 소재 ‘ㄱ’ 약국은 의약품의 오·남용과 부작용이 우려돼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만 판매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인 발기부전치료제를 임의로 판매하다가 적발됐다. 남양주시 ‘ㄴ’ 한약방은 비규격품 한약재를 사용하다가 적발됐다. 한약재 등 의약품의 경우 GMP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러한 인증표시가 없는 한약재를 사용하는 경우 처벌받게 된다. 용인시에 위치한 ‘ㄷ’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