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제신문] 용인시의회 의회운영위원회는 12일 회의를 개최해 제267회 임시회를 오는 19일부터 25일까지 7일간의 일정으로 개회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2022년도 행정사무감사 계획서 승인의 건 용인시의회 의원 의정활동 소송비용 지원에 관한 조례안 용인시 도자문화사업 진흥에 관한 조례안 용인시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조례안 용인시 착한가격업소 지원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 용인시 도로관리심의회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용인도시공사 다른 법인 출자 동의안 등 조례안 14건, 동의안 5건, 의견제시 1건, 행정사무감사 계획서 승인의 건, 보고 2건 등 총 23건의 안건을 심의할 예정이다. 이번 임시회는 19일 개회식과 제1차 본회의를 시작으로 20부터 24일까지 각 상임위원회 별로 조례안, 동의안 등을 심의하고 25일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폐회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경기경제신문]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김철환 의원은 16일 열린 경기도농업기술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농업기술원 연구의 주요성과와 보급실적’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경기농업기술원의 주요 연구개발과 성과로는 ‘18년부터 ’20년까지 최근 3년간품종개발영농활용정책제안산업재산권출원기술이전 등 500건이 넘는 실적이 있으며 연구개발로는 작물연구원예연구환경농업연구버섯연구소득자원연구선인장다육식물연구 등의 529과제를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 의원은 “농업기술원이 농업 R&D와 기술보급의 핵심기관으로서 연구에 매진하는 것을 알고 있으나, 그 동안 많은 기술발굴과 연구과제를 진행하며 ‘연구특허 보상금’등과 관련한 평가 지표 등 객관적인 체계 마련 및 연구결과의 실효성 측정이 부족하다”고 강력하게 질타했다. 이어서 김 의원은, “2018년 행정사무 감사 시에도 기술원의 연구시설과 연구비에 대한 투자의 결실이 경기도 농업인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2년이 지난 현재, 기술원의 연구와 개발활동이 경기농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에 따른 분석 등이 제대로 되었는지 정비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경기농업의 R&D 기관으로서 전문적인 ‘연구개발체계’가 미비하다” 며 우려스러움
[경기경제신문] 의왕시의회 송광의 부의장이 경기도 중부권 9개 시의회 의장협의회 예산절감분야 우수의원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송 부의장은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자세로 의정활동에 임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그는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조례 제정 등 입법 활동은 물론, 예산 낭비요인을 차단하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의왕시의 살림살이를 알차고 내실있게 꾸려 나가는데 기여한 점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송 부의장은 “지역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열심히 일했을 뿐”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진정한 민의 대변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송광의 부의장은 2020년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의왕시의 39개 관·과·소·동과 의왕도시공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추진한 행정사무 전반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를 오는 24일까지 진행한다.
(서울=뉴스와이어) 2011년 09월 26일 -- 환경부는 수돗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소비자가 다양한 먹는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먹는물 수질기준을 개선한다고 밝혔다. 수돗물 수질기준에 미량유해물질 포름알데히드*를 추가하고, 먹는샘물, 먹는물공동시설(약수터, 샘터) 물의 심미적 영향물질** 수질기준을 조정하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 (포름알데히드) 주로 오존 소독이나 염소소독 과정에서 생성되며, 과다 노출시 염증 등 유발(발암물질) ** (심미적 영향물질) 사람의 오감을 통해서 물 맛을 느끼는 물질 주요 개정내용을 보면 첫째, 수돗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미량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수돗물 수질기준에 포함시켜 관리하게 된다. 최근 3년간 수돗물 중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농도 및 검출빈도가 높게 조사됨에 따라 수돗물의 수질기준에 추가*하여 적정 관리할 계획이다. * 현행 58개 항목을 59개 항목으로 확대(포름알데히드 수질기준 : 0.5mg/L 이하) 수질기준으로 설정되면 정수장에서 매 분기 1회 이상 포름알데히드에 대해 적정 정수처리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둘째, 지하수를 이용하는 먹는샘물, 약수터 물의 미네랄, 맛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