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경제신문] 파주시는 최근 공무원 사칭 물품구매 사기 행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시민과 업체의 피해를 예방하고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지난달 17일부터 물품구매 진위여부 전담창구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공무원 사칭 범죄 시도(대납품목: 의료기기, 공기호흡기, 드론 등)가 여러 차례 접수됐으며, 실제 1,200만 원 상당의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는 등 납품업체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공무원을 사칭한 위조 명함을 활용해 특정 부서 방문 견적을 요청하고 업체가 취급하지 않는 물품의 대리 구매를 요구한 뒤 선입금 및 대리결제를 유도했다.
실제 재직 중인 공무원의 이름과 직책, 소속 부서명을 도용한 가짜 명함을 사용하며 방문을 요청해 신뢰를 갖게 하여 접근하는 등 범행 수법이 점점 더 지능화되고 있다.
이에 공무원을 사칭한 명함으로 주문을 받는 경우, 반드시 ‘파주시 물품구매 진위여부 전담창구’를 통해 즉시 사실여부 확인하고, 사칭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경찰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김양환 회계과장은 “공공기관이나 공무원이 업체에 물품 대리구매를 요청하는 일은 없다”라며 “대리구매 요청 자체가 사칭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전담창구를 통해 사실여부를 확인해 달라”라고 강조했다.
전담창구에서는 ▲공무원 실명·소속 여부 확인 ▲구매 요청의 사실 여부 검증 ▲사기 의심사례 접수 및 경찰 연계 안내 ▲사기 피해 예방 홍보 등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파주시는 전담창구 운영 외에도 파주경찰서와 긴밀한 공조 체계를 강화하여 피해사례 접수 시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추가 피해 확산을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